Well Being Report
생활꿀팁,건강꿀팁,음식의효능,세탁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 소득기준과 신청서류 완벽정리

2025년 기준으로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의 소득기준, 신청서류, 그리고 실제 신청 방법까지 최대한 쉽게 풀어서 정리해볼게요.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 소득기준과 신청서류 완벽정리

우울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고 싶지만, 병원비 걱정에 망설이는 분들이 꽤 많으시죠.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의 소득기준, 신청서류, 그리고 실제 신청 방법까지 최대한 쉽게 풀어서 정리해볼게요.

현재 마음이 힘드신 데 금전적인 이유로 치료조차 받지 못하시고 계셨다면 도움이 되실 거에요!

우울증치료지원사업


1.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이란?

정신건강복지센터나 보건소를 통해 우울증 등 정신질환으로 힘드신 분들에게 진료비, 약제비 등 본인부담금을 지원해주는 제도랍니다.

대표적으로는 발병 초기(최초 진단 후 5년 이내) 치료비 지원, 응급또는 행정입원 치료비 지원, 외래치료 명령 시 지원 등이 있어요.

여기서 말하는 응급입원이나 행정입원은 주로 본인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아주 높다고 판단되는 상황에 긴급하게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입원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갑자기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거나, 타인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할 위험이 높다고 의사가 판단하면, 보호자 동의 없이도 빠르게 입원 조치가 가능하답니다.

이런 경우는 소득에 상관없이 치료비 전액이 지원된다고 해요.


2. 소득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지원사업을 신청하려면 소득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주로 ‘가구 중위소득 120% 이하’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2025년 기준으로 가구원수별 중위소득과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기준을 아래 표로 정리해봤어요.

2025년 기준중위소득 및 건강보험료(중위소득 120%)
가구원수 기준중위소득 120%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혼합 건강보험료
1인 2,871,000 102,613 22,380 102,613
2인 4,720,000 168,410 105,787 170,193
3인 6,031,000 215,933 151,146 219,196
4인 7,318,000 261,360 208,471 266,302
5인 8,530,000 302,462 260,307 311,031
6인 9,678,000 354,964 320,449 369,517
7인 10,787,000 386,684 357,963 407,092
8인 11,895,000 431,294 411,250 461,699
9인 13,003,000 461,699 447,279 506,004
10인 14,112,000 506,004 496,008 552,230

건강보험료는 장기요양보험료를 뺀 금액으로 계산하셔야 하구요.

4인 가족 직장가입자인 경우, 최근 1개월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가 261,360원 이하라면 치료비 지원 신청이 가능합니다.

건강보험 고지서나 납부확인서에서 ‘건강보험료’만 확인하고, ‘장기요양보험료’는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의료급여대상자는 별도의 기준 없이 바로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3. 지원대상과 지원내용은?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우울증 등으로 진단받은 분
  • 진단일로부터 5년 이내(발병 초기) 또는 응급/행정입원, 외래치료 명령을 받은 경우
  • 소득기준 충족 시 진료비, 약제비 등 본인부담금 지원 (연간 최대 400만~450만원, 지역별로 조금씩 달라요)
만약에 최초 진단 받은 날이 2021년 12월 9일인 경우 2026년 12월 8일까지 지원하실 수 있어요!

4. 신청서류는 뭐가 필요할까요?

실제로 신청할 때는 아래 서류들을 준비하셔야 한답니다.

  •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 신청서
  •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 주민등록등본 등 신분증명서
  • 우울증 진단서 또는 진단코드가 적힌 처방전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건강보험가입자)
  •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증빙서류(해당자)
  • 치료비 영수증·계산서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보호자 통장 사본 등

5. 신청 및 지원 절차



내가 사는 지역에서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이 시행되는지 확인하려면, 주소지 관할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해 문의하면 가장 정확합니다. 

또는 우리 구청·시청·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 등으로 검색해보세요. 

지역별로 지원 대상, 금액, 신청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꼭 관할 보건소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진단 및 치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해요.
  2. 서류 준비: 위 서류들을 꼼꼼히 준비해둡니다.
  3. 신청: 주소지 관할 보건소나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방문,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돼요.
  4. 심사 및 통보: 센터에서 대상자 선정 후 지원 여부를 알려준답니다.
  5. 치료비 지원: 의료기관에 치료비가 지급되거나 본인부담금이 환급되는 방식이에요.

치료비 발생일로부터 18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하고, 예산이 조기 소진될 수도 있으니 미리미리 챙기시는 게 좋겠죠?



6. 지역별 추가 지원사업도 있어요!

요즘은 일부 지자체(예를 들어 원주시 청년 우울증 치료비 지원사업 등)에서 청년이나 특정 대상에게 연간 최대 40~45만원까지 별도로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거든요.

거주지 보건소나 정신건강복지센터 홈페이지에서 내 지역의 사업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7. 마무리하며

우울증 치료는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경제적 부담 때문에 치료를 미루지 마시고,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지원제도를 꼭 활용해보세요.

궁금한 점은 관할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으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으실 수 있을 거예요.

(참고로, 지원 기준과 금액, 신청서류는 지역과 연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의 출처는 법제처 공식사이트에서 2025년 4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안내문을 바탕으로 쉽게 쓰여졌고 원문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우울증, 치료 비용이 부담될 때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