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l Being Report
생활꿀팁,건강꿀팁,음식의효능,세탁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소득기준과 신청서류 완벽정리

2025년 기준으로 우울증이나 불안 등 정서적으로 힘든 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바우처 제도를 알려드리려고해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소득 기준과 신청 서류 완벽 정리

우울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고 싶지만, 병원비 걱정에 망설이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같은 고민을 한 적 있거든요. 예전에 육아 우울증으로 1년가까이 우울증 약을 처방 받아서 먹었는데 금액이 꽤 부담이 돼서 그게 또 우울하더라고요.

저는 그때 시행하고 있던 지원 사업이 있었는데 나이 제한으로 지원을 못 받아서 아쉬웠던 경험이 있어요.

그때가 6년전이었는데 요새는 생각보다 정부나 지자체에서 다양한 치료비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더라고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우울증이나 불안 등 정서적으로 힘든 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바우처 제도를 알려드리려고해요!

저도 최근에 이 제도를 알게 됐는데, 생각보다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이 다양하더라고요.  

2025년 기준으로 이 바우처 사업의 지원대상, 소득기준, 본인부담금, 신청서류, 신청방법까지 쉽게 정리해볼게요. 우울증으로 힘드신 분이라면 도움이 되실 거에요!

전국민마음투자지원사업

1.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란?

이 사업은 우울, 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에게 전문 심리상담(최대 8회기)를 제공하는 제도랍니다.

상담은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상담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Wee센터/Wee클래스, 동네의원 연계기관 등에서 받을 수 있어요.

단, 약물,알코올 중독, 중증 정신질환(예: 조현병), 급박한 자살위기 등은 심리상담보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우선이라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2. 지원대상은 누구일까요?



  •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상담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Wee센터 등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받은 분 (기관에서 3개월 이내 발급한 의뢰서 필요)
  • 정신의료기관에서 우울·불안 등으로 상담이 필요하다고 진단받은 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한방신경정신과 한의사 진단서/소견서, 3개월 이내 발급)
  • 국가 건강검진(우울증 선별검사, PHQ-9)에서 10점 이상 중등도 우울이 확인된 분 (1년 이내 건강검진 결과통보서)
  • 자립준비청년, 보호연장아동 (보호종료확인서, 시설재원증명서, 가정위탁보호확인서 등 필요)
  • 동네의원 마음건강돌봄 연계 시범사업을 통해 의뢰받은 분 (3개월 이내 연계의뢰서)

※ 기존에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정서발달지원서비스, 정신건강토탈케어, 성인 심리지원서비스 등)을 받고 있다면 중복 지원이 안 된다고 해요.

3. 소득기준과 본인부담금은 어떻게 될까요?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과 본인부담금이 달라지는데요,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는 본인부담금이 없고, 그 이상은 단계별로 부담률이 올라가요.

아래 표로 정리해봤어요.

기준 중위소득 본인부담률
70% 이하 0%
70% 초과 ~ 120% 이하 10%
120% 초과 ~ 180% 이하 20%
180% 초과 30%

자립준비청년, 보호연장아동, 법정한부모가족은 소득에 상관없이 본인부담금이 없어요.

상담은 1회당 7~8만원(유형별 차이 있음)이고, 8회까지 지원돼요.

예를 들어 1급 유형(8만원/회)에서 중위소득 120% 이하라면 1회 8천원, 총 8회 64,000원만 본인 부담하면 됩니다.

4. 신청서류는 뭐가 필요할까요?



  • 의뢰서, 진단서 또는 소견서(기관·의료기관 발급, 3개월 이내)
  • 국가건강검진 결과통보서(1년 이내, 해당자)
  • 자립준비청년·보호연장아동 증빙서류(보호종료확인서 등)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등 기본 서류

5. 신청방법은 어떻게 할까요?

  • 본인, 친족, 법정대리인, 담당공무원이 신청 가능해요.
  • 주민등록상 주소지(또는 실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만 19세 이상만 온라인 가능)

서비스기관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에서 검색하거나, 네이버지도에서 '마음투자 바우처'로 검색해보시면 돼요.

6. 참고사항

  • 상담은 총 8회까지 지원되고, 본인부담금은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약물과 알코올 중독, 조현병 등 중증 정신질환, 급박한 자살위기 등은 심리상담 바우처보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우선이에요.
  • 이미 다른 심리지원 바우처를 받고 있다면 중복 지원이 안 돼요.

7. 마무리하며



정서적으로 힘든 시기, 정부의 마음투자 바우처를 통해 부담 없이 심리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신청 조건이나 서류가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차근차근 준비하면 어렵지 않게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궁금한 점은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나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에서 법제처 공식사이트에서 2025년 4월 15일 작성된 
우울증 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글도 확인해보세요!
▼▼▼





댓글 쓰기